건강과 심리학 / / 2022. 9. 25. 20:58

심리학, 사회학습이론(반두라)

반응형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은 반두라에 의해 세워진 이론이다. 반두라는 인간의 내적 과정을 바탕으로 한 연구를 넘어 사회적 상황 속에서의 행동의 학습에 관심을 갖고 인간 행동의 상호 결정론과 행동의 습득에서 관찰학습의 중요성을 크게 강조하였다. 인간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행동을 학습하며, 여기에는 내적ㆍ인지적 요소가 포함된다는 것이다. 사회학습이론이란 인간의 행동이 사회적 상황 속에서 개인의 내적ㆍ인지적 과정과 환경적 영향력 간의 상호작용으로 결정된다는 성격 이론이다.

사회학습이론(반두라)

 

1) 반두라의 생애

반두라는 1925년 캐나다의 앨버타 지방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 아주 조그만 시골 마을에서 성장하였으며,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교애서 심리학을 전공하였다. 아이오와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에 입학하여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여기에서 사회학습이론의 선구자 중 한 사람인 시어즈와 함께 연구했다.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반두라는 임상심리학에 흥미를 가졌으며, 초기 연구의 초점은 심리치료 과정, 가족 상황에서의 아동의 공격성 등에 있었다. 특히 그는 아동이 사회적 상황에서 모방을 통해 받은 것을 학습한다고 주장하여 모방학습의 이해에 관심을 고조시켰다. 반두라는 1953년 스탠퍼드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그는 1972년 미국 심리학회로부터 우수과학자상을 받았으며, 1973년에는 미국 심리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반두라의 가장 유명한 저서로는 『사회학습이론』이 있으며, 그는 여기에서 사회학습 분야에서의 이론적ㆍ실험적 연구를 통합하고자 하였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청소년의 공격성』, 『사회학습과 성격 발달』, 『행동수정의 원칙』, 『공격성 : 사회학습의 분석』 등이 있다.

 

2) 사회학습이론의 기본 원리

(1) 내적 과정의 초월

반두라는 인간의 행동이 의식 이하에서 작용하는 동기ㆍ충동ㆍ욕구 등과 같은 내적 과정으로부터 일어난다고 보는 것은 개념적ㆍ실험적 근거로 볼 때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즉, 인간의 내적 동기요인은 각각 다른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을 대할 때 또는 다른 사회적 역할을 가질 때, 어떤 행동의 빈도와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점을 잘 설명해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내적 과정을 바탕으로 한 연구는 이미 발생한 사건들에 대해서 흥미로운 해석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경험적인 타당성이 의문시되며, 어떤 상황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대한 예측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즉, 인간 행동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려면, 개념적ㆍ경험적 측면에서 설명 능력이 향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적 과정을 초월하여 사회적 상황이나 역할에 대해서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2) 상호결정론

반두라는 인간이 어느 정도 자기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우수한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행동이 내적 과정에 의해서 움직여지는 것도 아니며, 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만도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인간 행동의 원인들은 행동적ㆍ인지적ㆍ환경적 영향력 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반두라의 상호 결정론은 인간의 행동이 개인, 행동, 환경의 요소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는 견해이다. 즉, 인간의 행동은 개인의 기질적 요인들과 사회의 상황적 요인들이 상호 의존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인간의 행동은 환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인간은 어느 정도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인간은 외적 자극에 대해서 단순히 반응만 하는 존재는 아니며, 상징을 사용할 수 있는 비범한 능력을 갖추고 있으므로 행동으로 나타나는 인지과정인 사고, 창조, 계획 등의 일들을 할 수 있다.

 

3) 관찰학습의 과정

관찰학습은 직접적인 강화가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관찰을 통하여 행동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은 모델링이 제공하는 정보기능을 통해서 학습이 발생하며, 적절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의 표본이 되는 모델 행동의 상직적 표상의 습득을 통해 이루어진다. 관찰학습은 네 개의 상호 관련된 구성요소인 주의 집중 과정, 보존 과정, 운동 재생 과정 및 동기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4) 반두라 이론의 평가

반두라의 이론은 모방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의 자각을 증진시켰으며, 사회적 환경이 인간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다시 한 번 인식하도록 하였다. 그는 스키너와 달리 관찰학습에서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 강화와 자기 효능감 등과 같은 인지적 요소의 중요성을 받아들였으며,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려놓았다. 이러한 학문적인 많은 공헌에도 불구하고 반두라의 이론은 몇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첫째, 반두라의 이론은 인간 행동에서 외부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내적이고 자발적인 측면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행동은 내적인 사고, 감정, 동기, 욕구 등을 통해 자연발생적으로 발달할 수 있으며, 외적 자극에 의한 것만으로 발달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행동에서 외적 강화가 행동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기는 하지만, 모델의 강화가 없이도 내적 흥미로부터 자발적으로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

둘째, 관찰학습은 단순한 행동을 신속하고 쉽게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 행동의 학습을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반두라의 이론은 인간 행동의 발달에서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학습과 관련된 인지적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즉, 인간 행동의 학습에서 연령에 따라 인지적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지만, 이러한 수준을 고려한 연령에 따른 학습 과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